태양계가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 아닌 이유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주의신비 #태양계행성 #수금지화목토천해 #수금지화목토천해 #명왕성 #태양계명왕성 #명왕성행성지위 #미국우주항공국 #NASA #뉴호라이즌스 #국제천문연맹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안녕하세요~만복입니다!오늘은 우리가 어렸을 때 흔히 태양계 행성을 외우면 질릴 정도로 외쳐본 수금지화목토천해명에서 명(명왕성)이 빠져 수금지화목토천해가 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어렸을 때 저는 분명히 태양계는 명왕성까지 9개의 행성이라는 걸 알고 외웠는데 어느 순간 명왕성 행성의 지위는 박탈된 지 오래라는 걸 알게 된 사실~
곧 시작할게요!

태양계는 태양과 태양의 영향권 내에 있는 주변 천체로 구성된 계열입니다.항성의 태양, 태양을 공전하는 행성, 그 행성을 공전하는 위성, 그리고 왜소행성과 소행성, 혜성, 카이퍼 대천체를 비롯한 태양계 소천체 행성 간의 먼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행성에는 소행성대보다 안쪽에 있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과 바깥에 있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있습니다.각각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나뉘는데 지구형 행성은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위성이 없거나 수가 적어 목성형 행성은 거대 기체 행성으로 불리며 4개의 목성형 행성은 태양을 제외한 태양계 질량의 99%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우리는 태양계의 행성이라고 하면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까지 어렸을 때 많이 알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그래서 과학 시간마다 수금지화목토천 해명을 익힌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명왕성 행성의 지위가 태양계에서 박탈됐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단순히 축구공만한 크기도 아니고 엄청나게 큰 행성이 어떻게 하면 태양계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명왕성은 미국 우주항공국 NASA 무인우주탐사선인 뉴호라이즌스가 가까이 다가가 사진을 찍어 보내와 ‘저승사자의 별'(명왕성이 영어로 pluto인데 저승사자 하데스를 뜻한다고 합니다.!)라고 불리던 명왕성의 베일이 하나씩 벗겨졌습니다.
2006년 국제천문연맹 IAU의 결정으로 행성의 지위를 잃고 왜소행성으로 격하되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명왕성은 왜 행성에서 빠져나갔을까요?
명왕성은 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타원형 궤도를 선회한다고 합니다.궤도가 일그러져 있기 때문에 태양에 조금 더 가까워질 수도 있고 좀 더 멀리 떨어질 수도 있지만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는 59억 킬로미터 정도라고 합니다.
지구에서는 평균 48억km 정도 떨어져 있대요!
명왕성이 행성 목록에서 빠진 이유를 쉽게 말해 다른 행성과 매우 다르기 때문입니다.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은 명왕성 궤도의 공전면이 다르다는 것입니다.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보면 대체로 같은 면 위에 놓여 있지만 명왕성의 공전면은 17도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명왕성이 해왕성에서 갈라진 부분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태양계 명행성 복귀의 가능성은 없는 것일까요?아마도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태양계 행성의 조건을 2006년에 정리한 것을 다시 수정하지 않는 이상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으로 복귀할 가능성은 없다고 합니다.
또 2008년 국제천문연맹은 해왕성 외 천체 중 왜행성인 천체를 통칭해 플루토늄, 즉 명왕성형 천체로 분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유럽 우주국의 혜성 탐사선 로제타가 관측한 혜성과 화학적 성분의 유사성이 나타나 거대 혜성이 아니냐는 가설이 제기됐다고도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태양계 행성에서 밀려난 명왕성에 대해 공부했는데요.사실 천문학계에서 명왕성은 태양계 밖으로 빠져나갔지만 문학, 게임 등 예술 전반에서는 명왕성을 태양계 행성으로 간주돼 모티브가 되는 것이 많은데요! 게다가 아직도 대학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천문학 교재 중에는 개정 전 교과서를 사용하여 명왕성을 태양계에 속하는 행성으로 분류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저는 이런 우주의 신비를 접할 때마다 가끔 어딘지 모르는 허무함?을 느끼는데 지구 안에도 60억 명이 넘는 사람이 살고 있고 자연 속에서 저도 굉장히 작다고 생각하는데 우주 안에서 저는 어느 정도인지를 생각하면 생각이 안 날 정도로 결론이 나지 않아요.~
물론 저는 생각처럼 저는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의 사상에 힘입어 항상 살아있음을 느끼지만 우주 속에서 개인은 티끌에도 규정할 수 없는 크기인 것 같아서 그런 것 같아요!
하지만 이러한 우주의 신비를 밝히는 것도 결국 인간의 몫이고 과학의 발전을 이끈 주역도 인간인 만큼 물론 제가 밝힌 사실은 아니지만 이에 만족감을 느끼고 제 자신에게만 집중하고자 합니다!
저는 다음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그럼 2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