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 63억km 대장정 시작(2021), 태양계 생성 과정 밝히다 소행성 탐사선

미 나사 16일 오후 발사 2012년 긴 여로 트로이군 소행성 첫 탐사 구성물질 조사

소행성 탐사선 ‘루시’호가 16일(한국시간) 오후 6시 34분께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기자로부터 우주로켓 아틀라스V에 실려 발사되고 있다. / AP·연합뉴스 [서울경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제작한 소행성 탐사선 루시(Lucy)가 16일(이하 한국 시간) 12년간의 대장정을 시작했다.

NASA는 이날 오후 6시 34분께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에서 루시가 ‘아트라스V’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총 9억8100만달러(약 1조1610억원)가량이 투입됐다.

루시호가 이동하는 거리는 총 63억 km에 달한다. 이 과정에서 태양계 밖에서 지구 부근으로 돌아오는 최초의 우주선으로도 기록될 전망이다. 우선 루시호는 2025년 4월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에 있는 소행성을 근접해 지나가 첫 탐사 임무를 수행한다. 이어 2027년 8월부터 목성과 같은 궤도를 돌고 있는 트로이 카운티 소행성 중 7곳을 사상 처음으로 탐사하게 된다.

소행성 탐사선 ‘루시’호가 16일(한국시간) 오후 6시 34분께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기자로부터 우주로켓 아틀라스V에 실려 발사된 뒤 구름층을 뚫고 치솟고 있다. /AFP·연합뉴스

루시는 트로이 카운티 소행성에 약 400㎞ 거리까지 접근한 뒤 초속 5~9㎞로 비행하며 원격 측정 장비를 이용해 소행성의 구성물질과 질량, 밀도, 크기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무려 12년간 이에 이르는 대장정이지만 트로이군 소행성을 탐사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는 24시간에 불과해 상당한 기술력이 요구된다.

트로이군 소행성은 총 1만여개에 달하는데 태양계 생성 초기 목성과 토성 등 외행성을 구성하고 남은 물질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소행성은 지난 45억년간 거의 변하지 않는 원시 상태 그대로일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들을 탐사하는 것은 태양계 행성의 기원과 진화과정, 유기물질 및 지구생명체의 생성과정 등을 규명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민병권 기자 ([email protected])

error: Content is protected !!